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민찬 기자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까요. 변창흠 국토부 장관 후보자 얼굴이 보이는데요, 집값 상승 원인 뭐라고 분석 했나요? <br> <br>온라인 커뮤니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습니다. <br><br>Q. 온라인 커뮤니티의 정보들이 집값 상승을 이끌었다고 본거군요? <br><br>변 후보자가 지난 2018년 쓴 기고문 내용인데요. <br><br>"참여정부 때 부동산 시장을 움직인 주체가 중개업자였다면 최근에는 수십만 명 회원을 거느린 온라인 사이트"라고 썼습니다.<br> <br>온란인 커뮤니티의 여러 글들이 주택 수요자들의 불안심리를 조성하거나 왜곡된 정보를 확산시키면서 집값 상승을 불러왔다는 겁니다. <br><br>Q.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 관심이 많다 보니, 변 후보자의 과거 발언들이 주목받고 있어요? <br> <br>진단이 정확해야 해법이 나올텐데요. 변 후보자의 과거 목소리 들어보시죠. <br> <br>[송석준 의원 (국민의힘) / 지난 8월]<br>(문재인 정부의 주택정책 성적) 상중하로 따지면 어느 정도에 들어가실 것 같아요? <br> <br>[변창흠 당시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(지난 8월)]<br>저는 중상 이상은 된다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 앞의 두 정부는 좀 쉬운 시기였습니다. <br> <br>[이종배 의원 (국민의힘) / 지난 10월]<br>(문재인 정부에서) 잘못한 정책이 부동산 정책이라는 결과가 나와 있는데? <br> <br>[변창흠 당시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(지난 10월)]<br>가격이 많이 올랐을 때 갖지 못했던 분들 또 가질 분들의 상실감이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 <br><br>Q. 변 후보자.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을 옹호했었군요. 정책 기조가 바뀔 수 있을까요? <br><br>우선 변 후보자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도심 주택 공급 필요성을 강조해 왔습니다. <br> <br>[변창흠 당시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(지난 10월)]<br>역세권이라든지 노후 상가라든지 저층 오피스라든지 적극적으로 주택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… <br> <br>다만 재건축·재개발 규제는 유지할 것으로 보여 공급 물량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당장 국민의힘에서는 "김현미 장관보다 더한 사람이 후임으로 내정됐다"며 송곳 검증을 예고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꿈틀이는 어디에?' 최근 정권교체가 필요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과 나오고 있어요? <br> <br>추미애-윤석열 갈등, 부동산 실정 등으로 정권교체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데요. <br><br>실제 갤럽 조사를 보면요. <br><br>12월 들어 정권교체가 필요하단 의견이 3%포인트 오른 44%로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했습니다.<br><br>Q. 문제는 인물일텐데, 대선후보를 영입하겠다는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계획은 어떻게 되고 있죠? <br><br>지난 7월인데요. <br><br>김 위원장은 "11월쯤 되면 대선후보가 나타날 것"이라며 "당 밖에 꿈틀거리는 사람들이 있다"고 했었습니다.<br> <br>이미 한 달이 지났지만 당 밖에서 꿈틀거리는 분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죠. <br><br>Q. 김 위원장이 최근 대선주자로 유승민, 오세훈, 원희룡 세 분을 언급하는거 보면 당내로 눈을 돌리고 있는 거 같아요? <br><br>잠행하던 유승민 전 의원은 여의도에 사무실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[유승민 전 국회의원 (지난달 18일)]<br>2022년 대선에서 꼭 이기는, 꼭 승리하는 거기에 저는 제 역할이 있다라고 생각을 합니다. <br> <br>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원희룡 제주지사도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대권을 준비하고 있는데요. <br><br>문제는 지지율이겠죠. <br><br>세 사람 중 유일하게 유승민 전 의원만 갤럽 여론조사에 이름을 올렸는데, 1%에 그쳤습니다.<br> <br>대선까지는 아직 15개월 남았죠. <br> <br>여야 모두 국민을 위하는 정치를 한다면 지지율은 자연스럽게 따라오겠죠. <br> <br>그래서 오늘의 여랑야랑은 '지금부터'로 정해봤습니다.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